QnA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Q&A

Q&A

  • Q&A

QnA 목록

Total 16건 1 페이지
QnA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6
Q
작성자 윤** 작성일 2025-03-17 21:16 조회 17회
안녕하세요.
CRISPR/Cas-9 K/O zebrafish의 stable line을 확립하는 방법과 분양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의 stable line 확립 방법
CRISPR/Cas-9을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를 K/O한 zebrafish의 stable line을 확립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해당 유전자가 생존에 필수적인 경우, 성어(adult)까지 생존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경우, stable K/O line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전략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2. KZRC 분양 K/O Zebrafish의 유전자형
KZRC에서 분양하는 CRISPR/Cas-9 K/O zebrafish는 기본적으로 heterozygous 상태로 제공되나요, 아니면 homozygous 상태로 분양이 이루어지나요?

답변 주시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1. Tissue specific Cre-lox system이나 Inducible Cre-lox system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 KZRC에서 분양하는 CRISPER/Cas-9 K/O zebrafish는 line 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heterozygous 상태로 제공됩니다.

감사합니다.
윤** 2025-03-17
15
Q
작성자 ** 작성일 2025-03-13 12:57 조회 13회
안녕하세요.
혹시 제브라피쉬 배양 라인을 유지할때
인브리딩 문제는 어떻게 처리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A
질문하신 Inbreeding 문제는 2년에 한 번씩 다른 실험실에서 물고기를 공급 받아 outcross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KZRC에서 inbreeding이 적은 WT 라인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5-03-13
14
Q
작성자 윤** 작성일 2025-03-10 15:41 조회 18회
거점은행 담당자분께,

안녕하세요, 제브라피쉬 치어 관리 및 유전적 다양성 유지와 관련하여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현재 저희는 zebrafish 치어(5dpf~14dpf)를 비커에서 기르고 있으며, 하루 두 번 먹이 급여 전에 물을 교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어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ish system에 치어를 넣어보았지만, 수심이 깊어지면서 물살을 약하게 조절하더라도 치어가 제대로 생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혹시 치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또한, WT fish 간의 연속적인 브리딩으로 인해 inbreeding이 발생하면서 건강 상태가 저하되는 문제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WT fish 개체 수가 많지 않아 genetic pool이 충분히 다양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inbreeding을 방지하고 세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 있을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 귀중한 시간을 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주시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Zebrafish 치어(5 dpf ~ 14 dpf)를 키울 때는 충분한 물의 양이 필요합니다.

좁은 공간에서 키울 경우 성장이 저해되거나 폐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고 먹이 공급과 수질 관리를 철저히 해주세요. 치어가 Artemia를 섭취할 수 있는 크기(14 dpf)까지 성장하면 시스템으로 옮겨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스템으로 옮길 때 물이 한 방울씩 떨어지도록 조절하여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질문하신 WT fish는 2년에 한 번씩 다른 실험실에서 WT를 공급받아 outcross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KZRC에서도 inbreeding이 적은 WT 라인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윤** 2025-03-10
13
Q
작성자 ** 작성일 2025-02-27 16:03 조회 28회
안녕하세요.
현재 tol2 transposase를 이용하여 transgenic zebrafish를 만들기 위해 Multisite Gateway cloning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때, tol2 transposase 인식 부위을 갖고 있는 pTol2pA2 destination vector가 필요한데, 혹시 이곳 제브라피쉬 연구자원 거점은행에 해당 plasmid가 존재하나요?
A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희가 가지고 있는 pDestTol2pA2_#394 라는 Plasmid는 있습니다.

첨부한 pDestTol2pA2_#394.ape 파일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025-02-27
12
Q
작성자 ZEBR** 작성일 2025-02-25 09:32 조회 20회
안녕하세요.

Zebrafish를 해외에서 수입하고자 수입신고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수입신고 시에 견적서 내 물량과 실제 수입 물량이 동일해야하고 수입 형태도 기입해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이동 중 죽는 개체가 죽어 수량이 변동되는 경우는 괜찮은지
2. 이동 과정 중 hatching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수입신고를 어떻게 진행해야하는지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안녕하세요.

KZRC 연구원 장도원 입니다.

1. 이동 중 죽는 개체가 죽어 수량이 변동되는 경우는 괜찮은지
- 이동 중에 죽은 개체는 다 체크 후 따로 보관 후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2. 이동 과정 중 hatching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수입신고를 어떻게 진행해야하는지
- hatching이 진행이 되어도 문제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ZEBR** 2025-02-25
11
Q
작성자 a** 작성일 2025-02-06 12:59 조회 35회
안녕하세요
혹시 서울이나 경기권에서 제브라피쉬 사육장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나 연구실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현재 제브라피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곳을 찾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수도권 및 경기도에 사육장을 보유하고 있는 실험실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윤성 교수님
경희대학교 강동호 교수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해철 교수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기태 교수님
서울대학교 최경호 교수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승혁 교수님
성균관대학교 임화선 교수님
숙명여자대학교 김민정 교수님
용인대학교 지경희 교수님

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a** 2025-02-06
10
Q
작성자 ** 작성일 2025-02-04 15:25 조회 27회
안녕하세요. 제브라피쉬 연구를 진행하면서 KZRC를 통해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를 배우게 되어 앞으로 제브라피쉬 연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FISH 실험 과정에서 필수로 필요한 제품인 blocking reagent (Roche, 11096176001) 제품을 국내에서 구매할 수 없어 실험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Sigma 사이트 내에서 국내 판매 못하는 제품이라고 안내되어있고 업체를 통해 Roche 본사에 문의해본 결과 국내 취급 및 수입 발주가 안된다고 하셨습니다.

해당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문의드리고자 글 남깁니다.
A
안녕하세요.

해당 제품을 구매하실 수 없는 경우, Blocking Reagent (11112589001) 이 고려 해보시길 바랍니다.

고려대학교에서도 insitu에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www.sigmaaldrich.com/KR/ko/search/11112589001?focus=products&page=1&perpage=30&sort=relevance&term=11112589001&type=product

감사합니다.
** 2025-02-04
9
Q
작성자 ** 작성일 2025-01-10 22:11 조회 31회
안녕하세요.

zebrafish embryo를 배양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가 전용 인큐베이터가 아니여서 온도 조건 및 습도를 맞추는 것이 어려운것 같습니다.


혹시 거점은행에서는 embryo를 키울수있는 배양기를 어떤 기기로 사용하는지 공유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저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배양기는 LAB HOUSE에서 판매하는 저온 배양기 입니다.

모델 명은 BI-250 이고 아래에 홈페이지 URL을 남겨드리겠습니다.

http://www.labhouse.co.kr/bbs/board.php?bo_table=product3&wr_id=19

감사합니다.
** 2025-01-10
8
Q
작성자 ** 작성일 2025-01-08 15:40 조회 29회
안녕하세요. zebrafish embryo를 가지고 독성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mbryo를 가지고 실험을 진행해야하는 상황인데 계속적으로 알상태가 안좋아서 문의드립니다.

원래 기존 mating하는 방식은 mating cage에 물 넣고 암수 구별해서 전날에 분리해놓고 다음날 아침에 mating을 시킵니다.

다만, 겨울에는 아침에 물이 너무 차가워지고 해서 한동안 알을 못낳고 있다가 물의 온도를 유지시켜주고자 제브라피쉬 시스템에 전날 분리 시켜놓고 28도 물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알은 다행이 낳기는 하지만 상태가 안좋아서 다시 시스템말고 기존에 하던 방식으로 밖에 빼놓고 사육물과 RO 시스템 물을 섞어서 진행하고 있는데

알의 상태도 여전히 안좋습니다. 또 다른 문제점은 28도 인큐베이터 안에서 알을 사육하는데 발달이 너무 늦습니다.

혹시 이런경우에 어떻게 해야 알 상태도 좋고 발달도 제대로 될까요?

사육 및 Mating , embryo 상태 꿀팁 알려주세요 ㅠ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먼저 물고기방은 항상 온도를 26도로 셋팅을 해주셔야 됩니다.

그리고 아침에 Mating cage에 있는 물을 새로운 물로 바꿔줘서 온도를 맞춰 줍니다.

그러고 난 뒤 알을 받아서 죽은 알을 제거한 후 28도 인큐베이터에 넣어 줍니다.

그날 저녁에 퇴근하기 전에도 물고기 알 상태를 확인하고 죽은 알을 제거하고 새로운 물로 갈아준 후 다음날 아침에도 죽은 알 제거 및 새로운 물로 바꿔서 28도 인큐베이터에 다시 넣어주고
이 작업을 4일동안 반복하고 사육실로 옮기면 됩니다.

저희는 이렇게 Embryo를 받아서 키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5-01-08
7
Q
작성자 ** 작성일 2024-11-20 16:06 조회 39회
안녕하세요. 제브라피쉬 larvae와 adults의 눈(망막 세포층)을 관찰하기 위해서 조직절편을 제작하고자 합니다.
저희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파라핀 블록 제작 후 약 5 um 두께의 절편을 만드는 것이고, 6 dpf의 larvae는 whole body를, adults (약 3 cm)는 eye를 dissection해서 사용하였습니다.
이번에 처음 시도해본 결과, 검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과 (눈에 대해 transverse로 자르기 위함) 적절한 위치까지 절편을 자르는 것 (retina의 cell layer가 다 나오기 위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혹시 관련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싶어서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한 파일은 저희가 원하는 결과를 포함한 파일입니다.)
A
안녕하세요, KZRC입니다.

Fixation을 진행하실 때는 특정 부위만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브라피쉬의 몸 전체를 고정하는 것이 검체의 위치를 보다 쉽게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Fixation을 진행할 때 여러 마리를 동시에 고정을 진행하셔야 원하는 Sample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희는 한 블럭당 Fixation을 4마리를 동시에 고정하며, 두 마리는 아래를 보고 두 마리는 위에를 보게 하는 방법으로 진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dissection 할 때 더 많은 sample을 얻을 수 있고, 원하시는 위치의 절편을 얻을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질 것입니다.

Section은 많은 연습이 필요한 실험이므로, Fixation과 Section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참고하실 수 있도록 저희 실험실에서 작성한 Protocol를 첨부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024-11-20
6
Q
작성자 이** 작성일 2024-07-23 19:42 조회 110회
현재 치어는 E3 배지에서 사육중이고 , 사료는 하루 1회 로티퍼를 공급중입니다.
인큐베이터에서 키우는 중이고, 9:00~22:00 명주기 입니다.
사육 초기에는 잘 살아남는데 왜 항상 10 dpf에 폐사하는 건가요?
A
안녕하세요 KZRC입니다.
문의하신 배아 사육 방법 및 조건에 대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온도는 28도를 맞춰 주시고 핫플레이트 안에 물은 Egg Water를 만들어서 갈아주면서 키우면 됩니다.
3dpf에서부터는 상온에서 사육이 가능하고 Rotifer를 급여해 주고 15dpf에서부터 artemia를 급여하여 키우시면 됩니다.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만 전등 불빛이 들어와야 사육환경에 도움이 됩니다.
Egg Water, Rotifer ​, artemia 정보는​ Support에 Reagents & Equipments 혹은 Recipes에 나와있습니다.

추가로 Egg Water가 준비가 어려우면 시중에 나와있는 생수로 사육이 가능합니다.
생수 브랜드는 상관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정수기 물은 사육이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2024-07-23
5
Q
작성자 유송은 작성일 2024-07-08 15:30 조회 81회
안녕하세요. Mutant/TG 배아 관련하여 여쭤보고 싶은 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저는 현재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제브라피쉬 자어에서 골격 형성 및 발달(기형이 나타나기도 하는지, 어떤 기형이 주로 나타나는지)과 관련한 실험을 진행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Signaling Reporter Lines의 BMP 자어를 이용해서 해당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까요?(어떤 뼈가 표지되어 나타나는지, 사용한 자어를 가지고 qPCR을 진행해도 결과에 영향이 없는지 알고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문의에 관련하여 논문하나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072245/​Dynamic Smad-Mediated BMP Signaling Revealed Through Transgenic Zebrafish

논문에서 보면 somite muscle cell, notochord, midbrain-hindbrain neurons 등 다양한 곳에 발현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는 larvae stage에서 확인한 것입니다.

혹시 실험에 관련되어 있으면 분양신청하시면 분양은 가능합니다.
유송은 2024-07-08
4
Q
작성자 이** 작성일 2024-07-03 17:31 조회 83회
안녕하세요. 저희 실험실에서 키우고 있는 zebrafish가 breeding을 못하고 상태도 점점 안 좋아져 AB strain 새로 분양 받았었습니다.
그런데 새로 분양 받은 zebrafish도 breeding을 해보기 전에 모두 죽어버려 저희 사육 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 여쭤보고자 합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지역 원수를 5um, Carbon, 1um filter를 거친 후 시스템에 있는 50um filter와 UV를 추가로 거쳐 순환시키고 있습니다.
온도는 28-30도, pH는 7.0-7.5, nitrate는 50mg/L 이상이 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불은 9시에 불을 키고 23시에 불을 끄고 있으며 먹이는 brine shrimp로 하루 2번씩 치어는 3번씩 주고 있습니다.
추가로 확인해야 할 사항이나 구비해야 할 장비에 대해 말씀해 주신다면 앞으로의 실험에 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문의 해주신 zebrafish 사육 환경은 저희가 선생님 실험실로 현장 방문하여 원인을 찾아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이메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2024-07-03
3
Q
작성자 김** 작성일 2024-06-17 17:47 조회 89회
저희 실험실에서는 zebrafish strain 확립 차 AB strain 분양 받았습니다.
지속적으로 mating 시키고 있는데 부화 후 10일이 지난 즈음 치어가 집단으로 죽는 현상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자료를 찾아 보니 먹이를 먹지 못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 합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현재까지 artemia, 탈각 분말 artemia 를 치어 먹이로 급여 해 보았습니다.
귀 실험실에서는 치어를 키울 때 어떤 먹이를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현재 저희 실험실에서는 다량의 치어를 사육하고 있기 때문에 로티퍼(rotifer)를 키워서 급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제브라피쉬를 사육하는 타 실험실의 경우 파우더 형태의 젬마(gemma)를 급여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같은 경우 파우더 형태를 바로 수조에 급여 하게 되면 금방 물이 탁해지므로 수질 관리에 있어서 다른 방식에 비해 더욱 신경을 써주어야 합니다. 급여 10분이 지난 후 수면 위의 잔여 사료를 스펀지로 걷어내는 방식으로 수질을 관리하여 치어를 사육하시는 것이 죽는 현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로티퍼 구매 사이트:
https://aquasm.com/html/index.html
▶젬마 구매 사이트:
http://21cht.com/search?keyword=gemma

저희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물품들은 저희 홈페이지 support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김** 2024-06-17
2
Q
작성자 김은미 작성일 2024-06-17 11:42 조회 81회
안녕하세요.
제브라피쉬 사육실 배수시설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참고할 수 있는 사진(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문의하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아래 첨부해드린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1. 전반적인 배수시설 사진입니다.
2. 트렌치 깊이는 총 6cm이고 배수로는 5cm 입니다.
3. 바닥에 배수펌프로도 운용이 가능합니다.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정승현 박사)
김은미 2024-06-17
1
Q
작성자 동남환경** 작성일 2024-04-30 13:39 조회 126회
안녕하세요. (주)동남의화학연구원 박아현 과장입니다.
제브라피쉬 배아의 꼬리지느러미 절단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어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핀셋을 이용하여 몸통 부분을 잡고, 정밀 가위를 이용하여 꼬리 지느러미를 절단 시 핀셋으로 잡은 몸통 부분이 바로 으스러지게 됩니다.
점성이 있는 용액에 고정하려해도, 몸통에 용액이 코팅되면서 시험물질을 처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72hpf의 배아의 꼬리 지느러미를 절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
안녕하세요. KZRC 입니다.
문의하신 사항에 대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아래 첨부한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배아 꼬리지느러미 절단 기법

1. 1 ml팁 끝을 자른다.
2. 파이펫을 이용하여 3 dpf embryo 한마리를 petri dish에 옮긴다.
3. embryo주변 물기를 파이펫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4. 1 ml syringe의 바늘을 이용하여 현미경을보고 fin을 조금 자른다.
5. fin을 잘린 embryo주변에 egg water을 조금 넣고 다시 파이펫으로 petri dish에 옮겨준다.
동남환경** 2024-04-30
게시물 검색